나라에서 주는 지원금
 
몰라서 못찾는돈 TOP4
 
소액생계비 대출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마케팅 제품관리 전략 - 2. 제품계열 수준 점검 마케팅 제품관리 전략에서 제품관리는 개별제품 수준의 점검, 제품계열 수준의 점검, 제품믹스 수준의 점검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 개별제품 수준의 점검에 이어 두 번째 제품계열 수준 점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전글이 궁금하다면? 마케팅 제품관리 전략 - 1. 개별제품 수준 점검 마케팅 제품관리 전략에서 제품관리는 개별제품 수준의 점검, 제품계열 수준의 점검, 제품믹스 수준의 점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오늘은 제품관리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 그중에서도 개별제품 moom-moom.com 제품계열 수준의 점검 자사 제품이 잘 팔리지 않는 이유를 제품계열의 관점에서도 찾아보아야 합니다. 자사 제품의 종류가 너무 많은지, 아니면 너무 적은지 등을 점검하는 것을 제품계열(또는 제품라인).. 2024. 3. 16.
마케팅 제품관리 전략 - 1. 개별제품 수준 점검 마케팅 제품관리 전략에서 제품관리는 개별제품 수준의 점검, 제품계열 수준의 점검, 제품믹스 수준의 점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오늘은 제품관리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 그중에서도 개별제품 수준의 점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 제품관리 전략 - 개별제품 수준의 점검 - 1. 핵심제품 - 2. 유형제품 - 3. 확장제품 제품관리 전략 제품관리 전략은 자사 제품이 '잘 팔리는 제품'이 되도록 '잘 팔리는 제품'을 기획하고 생산하여 시장에 많이 팔리도록 관리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따라서 제품관리 전략은 먼저 자사 제품이 '잘 팔리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잘 팔리고 있다면, 마케팅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만약 잘 팔리지 않는다면, 그 이유를 밝혀내야 합니다. 제품.. 2024. 3. 15.
마케팅 제품 종류(소비재, 산업재)와 제품믹스는 무엇일까? 마케팅에서 제품을 구분할 때 소비재와 산업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소비재와 산업재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고, 마케팅 제품믹스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 제품 종류 (소비재, 산업재) - 제품믹스 제품 종류 제품은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형태가 있느냐에 따라 재화, 용역(서비스), 아이디어로 구분하고, 사용기간에 따라 내구재와 비내구재로 구분, 사용목적에 따라 소비재와 산업재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의 구매형태에 따라 편의품, 선매품, 전문품, 미탐색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용목적에 따라 구분되는 소비재와 산업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비재 소비재는 소비자들이 욕구를 충족하게 위해 구매하는 제품입니다. 소비재는 소비자들의 구매.. 2024. 3. 14.
마케팅 믹스 4P란? 제품 3대 속성 (핵심, 유형, 확장) 알아보기 마케팅에서 말하는 4P란 무엇이며 오늘은 그중에서도 마케팅에서 말하는 제품이란 무엇인지, 제품의 3대 속성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 목차 ] - 마케팅 믹스 4P란? - 마케팅 제품 이란? - 제품의 3대 속성 마케팅 믹스 4P 란? 좁은 의미에서 마케팅은 광고, 판매촉진, 이벤트 등 제품을 널리 알리는 판매 행위만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제품의 개발, 가격 책정, 유통, 촉진, 그리고 판매 후 고객들의 반응 분석까지 모두 포함합니다. 즉, 마케팅은 고객욕구 충족과 고객가치 창출을 위하여 어떤 제품을 생산할 것인가, 가격을 얼마로 책정할 것인가, 어떻게 판매할 것인가, 판매 후 고객들의 반응은 무엇인가 등을 분석하여 기업의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게 됩니다. 마케팅의 광범위한.. 2024. 3. 14.
마케팅 포지셔닝 절차 5단계 & 재포지셔닝, 포지셔닝 맵 이란? 오늘은 마케팅 포지셔닝 절차 5단계와 재포지셔닝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 목차 ] - 포지셔닝 절차 5단계 - 재포지셔닝 이란? - 포지셔닝 맵 - 포지셔닝 맵 유의사항 포지셔닝 절차 포지셔닝은 소비자 분석, 경쟁자 확인, 경쟁제품의 포지션 분석, 자사 제품의 포지션 개발, 포지션 확인 및 재포지셔닝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1. 소비자 분석 소비자들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소비자들이 기존 제품에서 불만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소비자 요구사항과 불만사항을 점검하면, 소비자들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경쟁제품 확인 과정 시장에서 자사 제품과 경쟁할 만한 제품들을 모두 파악해야 됩니다. 유의할 점은 직접적인 경쟁제품뿐만 아니라 대체제도 포함해서 진행.. 2024. 3. 13.
마케팅 시장 위치화 - 제품 포지셔닝 6가지 알아보기 STP 전략의 마지막은 시장 위치화 즉 포지셔닝입니다. 포지셔닝에도 종류가 있는데 시장 포지셔닝과 제품 포지셔닝으로 나뉘죠. 오늘은 저번 시간에 알아보았던 시장 포지셔닝을 이어 제품 포지셔닝을 알아볼 차례인데요. 함께 볼까요? 제품 포지셔닝 자사 제품이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제품 포지션이라고 하며, 자사 제품의 차별적 이미지를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각인시키는 과정을 제품 포지셔닝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포지셔닝을 이야기할 때 제품 포지셔닝을 말하죠. 자사 제품과 경쟁제품을 포지셔닝 맵에 같이 표시하면, 자사 제품과 경쟁제품 간의 차별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제품 포지셔닝은 제품의 속성, 이미지, 사용 상황, 제품 사용자, 경쟁제품, 품질 또는 가격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 2024. 3. 13.
마케팅 시장 위치화 종류 - 시장 포지셔닝 맵 4가지 알아보기 STP 전략의 마지막 P에 해당하는 것은 시장 위치화(포지셔닝)입니다. 포지셔닝이란 목표시장에서 자사의 제품이 고객의 마음속에 특별한 이미지로 인식되도록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포지셔닝은 자사 제품이 독특한 특징을 갖도록 차별화함으로써 '이 제품은 ~하다.'라는 인식을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각인시키는 과정이란 점에서 매우 중요하죠. 포지셔닝을 설계할 때 통상 포지셔닝 맵을 사용 합니다. 포지셔닝 맵(positioning map)이란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에 표시하는 지도를 말합니다. 속성 2~3가지를 기준으로 자사 제품과 경쟁제품의 포지션을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표시하면, 자사 제품과 경쟁제품의 차별화된 특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데요. 제품의 이미지.. 2024. 3. 12.